본문 바로가기
그림으로 정리하는 임상의학/이비인후과

일반 청력검사 해석 3: 어음청력검사

by susuri 2024. 8. 9.
반응형

1. 어음청력검사(speech audiometry)란 무엇인가

 

지난 포스팅에서는 순음청력검사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일반 청력검사 해석 2: 순음청력검사 (기도청력, 골도청력, 순음청력)

1. 순음청력 검사란 무엇인가 지난 포스팅에서는 일반 청력 검사 중 음차검사의 시행방법과 해석에 대해 다뤘습니다.  일반 청력검사 해석 1: 음차검사(웨버, 린네 양성, gelle..)*대한이비인후과

surimed.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일반청력검사 중 하나인 어음청력검사에 대해 배워봅시다. 

 

먼저 "어음"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순음청력검사의 "순음"은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음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어음"은? 주파수가 변화하는 복합음입니다.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의 경우 어음을 잘 구별해낼 수 있으나 감각신경성 병변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어음 간의 구분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순음청력검사에도 어느정도 반영되나 정확한 기능평가를 위해서는 자극음으로 순음이 아닌 어음을 사용하는 어음청력검사가 필요합니다. 

즉, 같은 정도의 순음청력검사결과가 나왔더라도 어음청력검사결과가 더 안 좋은 사람이 사회 적응 능력이 더 안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어음청력검사를 어떻게 하는지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2. 어음청취역치검사 & 어음명료도 검사 

 

어음청력검사는 어음을 들을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인 어음청취역치검사와 어음을 이해한 정도를 평가하는 어음명로도 검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먼저, 어음청취역검사(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의 경우 감지할 수 있는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서 표준화된 어음표를 사용하는데, 아래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어음청취역치검사용 어음표입니다. 

 

어음청취역치검사 한국어 표

 

위와 같은 표의 2음절 어음들을 녹음하거나 육성으로 말하여 검사하게 되며, 피험자는 전달된 어음을 복창합니다. 

이 검사에서 검사 어음의 50%를 정확하게 청취했을 때의 최소강도를 어음청취역치(SRT)라고 합니다. 

순음청력의 평균역치와 어음청취역치가 15dB 이상 차이 나면 검사결과를 신뢰하기 어렵겠죠. 

 

SRT는 보청기의 출력범위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보정기는 역동범위 내의 출력범위를 가지는 데 어음청취역치불쾌역치 사이를 의미합니다. 

불쾌역치최적안정역치, 즉 피험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강도에서 강도를 서서히 올려 피험자가 불쾌감을 느낄 때의 강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최적안정역치는 SRT + 35-40dB, 불쾌역치는 SRT + 75-90dB입니다. 

 

 

다음으로 어음명료도 검사(speech discrimination test; SD test)는 청취가능한 강도에서 어음들을 명확히 이해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마찬가지로 표준화된 어음표를 사용하며, 단음절어 50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어음명료도검사 한국어 단음절어표

 

위와 같은 단음절어표를 사용하여 어음청취역치(SRT)보다 30-40dB 높은 강도에서 검사합니다. 

피검사자가 정확히 들은 검사어음의 수를 측정하며 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값이 어음명료도치(speech discrimimation score)입니다. 

다양한 강도에서 여러번 측정하여 가장 높게 나온 어음명료도치를 최대명료도치(PBmax)라고 합니다. 

 

 

3. 어음 명료도 곡선 해석하기

 

어음명료도 검사에서 확인한 어음명료도치를 세로축, 가로축을 어음강도로 하여 그린 그래프를 어음명료도 곡선이라고 합니다. 이 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난청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어음명료도 곡선 해석

 

일반적으로는 어음강도가 높아질수록 어음명료도가 높아지고, 어음명로도가 100%까지 상승합니다. 

정상일 경우와 전음성 난청일 경우가 그러합니다. 

다만, 전음성 난청일 경우에는 SRT가 정상일 경우보다 더 높겠죠. 

 

하지만 감각신경성 난청에서는 최대어음명료치가 100보다 낮습니다. 

특히 후미로성 난청의 경우 미로성 난청보다 최대어음명료치가 현저히 낮으며, 어음강도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어음명료치가 감소하는 말림현상(roll-over phenomenon)을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